Development12 [회고록] 웹 풀사이클 데브코스 회고 - 23년 12월 벌써 12월도 끝이 보인다. 분명 이 과정을 시작할 때만 해도 11월 중순이었는데 말이다. 벌써 회고록을 2개째 쓰게 될 줄이야. 이번달에 배운 내용들 12월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백엔드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Node.js와 Express에 대한 내용이다. 강의의 미니 프로젝트를 따라 API를 짜보기도 하고 DB 연동도 해봤으며 간략하게나마 JWT를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월말 즈음에 들어서는 새로이 도서 정보 API를 설계해 보는 스프린트를 시작했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영상 강의로 가이드가 주어지기는 하지만 그대로는 가지 않을 듯하고 약간의 주관이 첨가된 개선된 형태의 코드를 작성할 계획이다. 멘토링과 팀 스터디 또 멘토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주 1회 1시간씩.. 2023. 12. 31. [회고록] 웹 풀사이클 데브코스 회고 - 23년 11월 회고록 쓰기에 앞서 11월 회고록을 왜 지금 올리느냐 할 수 있는데, 그 이유인즉슨 변명일 수 있겠지만 TIL을 쓰느라 회고록 올리는 것을 잊어먹었다(...). 이런 일을 겪은 이상 두 번 다시는 이런 상황은 없을 것이다. 데브코스를 듣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실 이 코스 외에도 다른 곳을 지원을 한 적이 있었지만 코딩테스트에서 떨어지기도 하고 면접까지는 갔으나 심하게 긴장한 탓에 제대로 답변을 못해서 떨어진 케이스도 있었다. 그렇게 여러 군데에다 넣고 하다 보니 한 것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점점 공백 기간은 길어지고 하여 데브코스 지원 넣는 것을 접고 아무 데라도 취업할까 생각하던 중 이 과정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스스로에게 반신반의하는 상태에서 지원을 넣었고, 천신만고 끝에 이 코스에 붙게 되.. 2023. 12. 30.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5주차 - Express.js, Postman 다뤄보기 Postman API를 구성하고 테스트할 때 보통 GET 메서드 말고도 POST, DELETE 등의 다른 메서드를 사용해야 할 일이 생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 GET 메서드 외 나머지 메서드는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주소를 입력하는 것으로는 테스트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이브한 해결 방법은 테스트 코드를 짜서 테스트하는 방법이 있지만 매번 코드를 짜서 하기에는 난감한 노릇이다. 직관적이지도 않고 때로는 언제 버그가 터질지도 모르고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도구는 원하는 URL에 원하는 메서드를 날려줄 수 있는 도구인데, 이때 등장한 도구가 Postman 되시겠다. Postman은 정확하게는 API의 디자인, 빌드, 테스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는 도구이다. 여.. 2023. 12. 19.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4주차 - REST API, Node.js, 그리고 Express.js 이번 글부터는 주 단위로 정리할 예정이다. 일 단위로 적으려 했는데 솔직히 매일 적기에는 들어가는 시간도 그렇고 좀 무리이고 중간에 특강을 들으면서 학습 내용을 통으로 적기보다는 요약과 학습 과정 및 회고 위주로 적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듣고 생각을 해 본 결과 TIL은 주 단위로 배운 내용들을 요약해서 어느 때라도 들여다봤을 때 기억날 수준으로 적는 게 낫다는 판단이 들어서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이다. 위키백과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무엇일까.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스템들이 서로 정보나 신호를.. 2023. 12. 1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