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6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11주차 - TypeScript 기초 저번주 부로 스프린트 프로젝트가 끝났다. 이 말인즉슨 자바스크립트 파트가 지나고 타입스크립트 파트가 시작된다는 것이다. 또 달리 말하면 블로그에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연말에 회고록 쓰고 얼마만인지도 모르겠다. 이번 편에는 타입스크립트 자체의 내용보다는 프로그래밍에 관한 내용이 주가 될 예정이다. 컴파일 기반 언어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타입스크립트라면서 웬 갑자기 컴파일 기반 언어가 나오는가 싶은데 이 둘이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렇다. 일단 설명을 해보면 첫째,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동작 원리는 거의 비슷하다. 쉽게 말하면 개념과 문법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는 C 나 C++로 짠 코드와 자바스크립트로 짠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다. 전해지는 말 중에 'C언어를 먼저 배우고 나면 .. 2024. 1. 22.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5주차 - Express.js, Postman 다뤄보기 Postman API를 구성하고 테스트할 때 보통 GET 메서드 말고도 POST, DELETE 등의 다른 메서드를 사용해야 할 일이 생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 GET 메서드 외 나머지 메서드는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주소를 입력하는 것으로는 테스트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이브한 해결 방법은 테스트 코드를 짜서 테스트하는 방법이 있지만 매번 코드를 짜서 하기에는 난감한 노릇이다. 직관적이지도 않고 때로는 언제 버그가 터질지도 모르고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도구는 원하는 URL에 원하는 메서드를 날려줄 수 있는 도구인데, 이때 등장한 도구가 Postman 되시겠다. Postman은 정확하게는 API의 디자인, 빌드, 테스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는 도구이다. 여.. 2023. 12. 19.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4주차 - REST API, Node.js, 그리고 Express.js 이번 글부터는 주 단위로 정리할 예정이다. 일 단위로 적으려 했는데 솔직히 매일 적기에는 들어가는 시간도 그렇고 좀 무리이고 중간에 특강을 들으면서 학습 내용을 통으로 적기보다는 요약과 학습 과정 및 회고 위주로 적는 것이 좋다는 조언을 듣고 생각을 해 본 결과 TIL은 주 단위로 배운 내용들을 요약해서 어느 때라도 들여다봤을 때 기억날 수준으로 적는 게 낫다는 판단이 들어서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이다. 위키백과에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무엇일까.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스템들이 서로 정보나 신호를.. 2023. 12. 12.
[데브코스 웹 풀스택 과정 TIL] Day 6~9 - 웹 생태계 전반에 대한 이론 및 실습 (3) - Node.js로 만드는 웹서버 1. 백엔드 웹서버 만든다면서 뜬금없이 웬 백엔드 설명인가 싶겠지만 뒤에서 필요한 내용이니 한번 훑어보고 가자. 백엔드의 구조 위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백엔드는 크게 세가지, 웹 서버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할 수 있다. 웹 서버: 정적 페이지에 대응하는 서버. 동적 페이지 처리는 직접 하지 않고 WAS에 전달하여 처리함.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동적 페이지에 대응하는 서버. 데이터 처리 / 연산을 하여 웹 서버에 전달해줌으로써 화면의 내용이나 데이터의 변화를 구현함.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하기 위한 데이터 집합체. 그런데 위의 그림에서 보다시피 웹 서버와 WAS가 분리되어 있는데, 여기서 하나 의문이 .. 2023. 11. 30.